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비타민 B6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비타민 B6는 7가지 형태가 알려져 있으며, 피리독신(PN), 피리독살(PL), 피리독사민(PM), 피리독신 5'-인산(PNP), 피리독살 5'-인산(PLP), 피리독사민 5'-인산(PMP), 4-피리독스산(PA)이 있다. PLP는 대사 작용으로 활성화된 형태이며, 4-피리독스산을 제외한 모든 형태는 상호 전환이 가능하다. 비타민 B6는 대량 영양소 대사, 신경 전달 물질 합성, 헤모글로빈 합성, 유전자 발현 등 다양한 생화학적 과정에 관여하며, 조효소로서 작용한다. 권장 섭취량은 국가별, 연령별로 차이가 있으며, 결핍 시 지루성 피부염, 신경병증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과다 섭취 시에는 신경병증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비타민 B6는 아이소니아지드 유발 말초신경병증 예방 및 치료, 은행 중독 치료에 사용되기도 하며, 암, 심혈관 질환, 인지 기능, 우울증, 자폐 스펙트럼 장애 등 다양한 질환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타민 B 복합체 - 피리독신
    피리독신은 비타민 B6의 한 형태로, 체내에서 활성형으로 전환되어 아미노산, 탄수화물, 지질 대사를 포함한 다양한 대사 과정에 필수적인 수용성 비타민이며, 신경전달물질 합성, 호모시스테인 수치 감소, 적혈구 생성 촉진 등에 관여하고 결핍 시 빈혈, 피부염 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의학적으로 특정 약물 부작용 예방이나 특정 질환 치료에 사용되지만, 과다 복용 시 신경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 비타민 B 복합체 - 피리독살 인산
    피리독살 인산(PLP)은 아미노산 대사 과정에 관여하는 조효소로서, 아미노기 전이, 탈탄산, 탈아미노 반응을 촉매하며, 신경전달물질 전환, 폴리아민 생성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
비타민 B6
일반 정보
피리독살 포스페이트의 화학 구조
피리독살 5'-인산, 대사 활성 형태의 비타민 B6
다른 이름피리독신
피리독살
피리독사민
의학적 용도
사용비타민 B6 결핍
약리학
생물학적 표적효소 보조 인자
ATC 코드
ATC 코드A11H

2. 유형

비타민 B6는 수용성 비타민으로, B 복합 비타민 중 하나이다. 이 비타민은 실제로는 화학적으로 관련된 여러 화합물, 즉 핵심 구조로 피리딘 고리를 공유하는 비타머 그룹으로 구성된다.[3] 알려진 주요 유형은 다음과 같으며, 4-피리독스산(PA)을 제외하고는 서로 전환될 수 있다.


  • 피리독신 (PN): 가장 흔한 비타민 B6 보충제 형태.
  • 피리독신 5'-인산 (PNP): 피리독신의 인산화 형태.
  • 피리독살 (PL)
  • 피리독살 5'-인산 (PLP): 생물학적으로 가장 활성이 높은 형태이며, 다양한 대사 반응의 보조 인자로 작용한다.[1][2][28]
  • 피리독사민 (PM)
  • 피리독사민 5'-인산 (PMP): 피리독사민의 인산화 형태.
  • 4-피리독스산 (PA): 체내 대사 후 소변으로 배출되는 최종 이화 생성물.


이러한 비타민 B6 형태들은 주로 아미노산지방산 대사를 포함한 140가지 이상의 세포 반응에 관여한다.[1][2][28]

2. 1. 피리독신 (PN)

피리독신(PN)의 화학 구조


피리독신(Pyridoxine, PN)은 비타민 B6를 구성하는 6가지 화합물(비타머) 중 하나로, 피리딘 고리를 기본 구조로 가진다. 비타민 B6피리독신, 피리독살, 피리독사민 및 각각의 인산화된 형태(피리독신 5'-인산, 피리독살 5'-인산, 피리독사민 5'-인산)로 존재하는데,[3] 이 중 피리독신은 화학적으로 안정적이어서 가장 흔하게 비타민 B6 보충제로 사용되는 형태이다.

체내에 흡수된 피리독신(PN)은 효소 피리독살 키나아제에 의해 피리독신 5'-인산(PNP)으로 전환된다. 이후 PNP는 피리독신 5'-인산 산화효소에 의해 대사적으로 활성 형태인 피리독살 5'-인산(PLP)으로 전환된다. 이 효소는 리보플라빈(비타민 B2)에서 유래한 보조 인자인 플라빈 모노뉴클레오타이드(FMN)를 필요로 한다.[28][3] PLP는 아미노산 대사, 지방산 생합성 등 140가지 이상의 효소 반응에서 보조 인자로 작용한다.[1][2][28] 사용되지 않은 PLP는 이화 작용을 거쳐 4-피리독스산(PA)으로 전환되어 소변으로 배설된다.[28]

비타민 B6의 기본 형태 비교
피리독신의 구조식
피리독살의 구조식
피리독사민의 구조식
피리독신 (PN)피리독살 (PL)피리독사민 (PM)
(알코올 형태)(알데히드 형태)(아민 형태)


2. 2. 피리독신 5'-인산 (PNP)

피리독신 5'-인산(Pyridoxine 5'-phosphateeng, PNP)은 비타민 B6의 알려진 7가지 형태 중 하나이다. 4-피리독스산(PA)을 제외한 다른 비타민 B6 형태들과 상호전환이 가능하다. PNP는 효소 피리독신 5'-인산 산화효소에 의해 대사적으로 활성 형태인 피리독살 5'-인산(PLP)으로 전환될 수 있다.[28][3] 이 전환 반응을 촉매하는 피리독신 5'-인산 산화효소는 리보플라빈(비타민 B2)에서 생성된 보조 인자인 플라빈 모노뉴클레오타이드(FMN)에 의존한다.[28]

2. 3. 피리독살 (PL)

피리독살(PL)은 비타민 B6의 여러 형태 중 하나이다. 비타민 B6는 7가지 유형이 알려져 있으며, 그중 6개는 화학적으로 관련된 화합물, 즉 핵심으로 피리딘 고리를 모두 포함하는 비타머 그룹으로 구성된다. 이들은 피리독신(PN), 피리독살(PL), 피리독사민(PM)과 각각의 인산화 유도체인 피리독신 5'-인산(PNP), 피리독살 5'-인산(PLP) 및 피리독사민 5'-인산(PMP)이다.[3] 소변으로 배출되는 이화 생성물인 4-피리독스산(PA)을 제외한 모든 유형들은 상호전환이 가능하다.

피리독살은 알데히드 형태를 가지며, 체내에서 효소 작용을 통해 대사적으로 활성화된 형태인 피리독살 5'-인산(PLP)으로 전환될 수 있다.[3][28] PLP는 140개 이상의 세포 반응에서 보조 인자로 작용하며, 주로 아미노산 대사 과정에 관여한다.[1][2][28]

아래는 피리독살과 다른 주요 비타민 B6 형태의 구조를 나타낸 표이다.

피리독신 (PN)피리독살 (PL)피리독사민 (PM)
(알코올 형태)(알데히드 형태)(아민 형태)


2. 4. 피리독살 5'-인산 (PLP)

피리독살 5'-인산(Pyridoxal 5'-phosphate, PLP)은 비타민 B6의 여러 형태 중 대사적으로 가장 활성화된 형태이다.[3] 비타민 B6 보충제로 흔히 쓰이는 피리독신(PN)은 체내에서 효소 피리독살 키나아제에 의해 피리독신 5'-인산(PNP) 또는 피리독사민 5'-인산(PMP)으로 전환된 후, 피리독신 5'-인산 산화효소나 피리독사민-인산 트란스아미나제에 의해 최종적으로 PLP로 전환된다. 이 과정에는 리보플라빈(비타민 B2)에서 유래하는 보조 인자인 플라빈 모노뉴클레오타이드(FMN)가 필요하다.[28][3]

PLP는 140가지가 넘는 다양한 효소 반응에서 보조 인자로 작용하며[1][2][28], 특히 아미노산 대사에 필수적이다.[72]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 아미노산 대사:
  • 트랜스아미나아제의 보조 인자로 작용하여 아미노산 분해 및 아미노기 전달을 돕는다.[28]
  • 세린 라세마제의 작용을 도와 신경 조절 물질인 D-세린 합성에 관여한다.
  • 시스타티오닌 합성 효소와 시스타티오네이스의 보조 인자로서 메티오닌 대사 및 시스테인 생성에 필요하다.
  • 셀레노메티오닌에서 셀레늄을 분리하여 셀레노단백질 합성에 이용하도록 돕는다.
  • 트립토판나이아신으로 전환하는 과정에 필요하다.[9]
  • 신경전달물질 합성: 세로토닌, 도파민, 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 감마 아미노부티르산(GABA) 등 주요 신경전달물질 합성에 필수적인 보조 효소이다.[36]
  • 에너지 대사: 글리코겐 분해 효소인 글리코겐 인산화 효소의 보조 인자로 작용하여 저장된 포도당을 방출하고[36], 포도당 신생합성 과정에서 아미노산을 기질로 제공하는 트랜스아미네이션 반응을 촉매한다.[9]
  • 지질 대사: 스핑고지질, 특히 세라마이드의 생합성 및 분해에 관여하는 효소의 필수 구성 요소이다.[9]
  • 헤모글로빈 합성: 아미노레불린산 합성효소의 보조 인자로서 헤모글로빈 합성을 돕고, 헤모글로빈에 직접 결합하여 산소 결합 능력을 향상시킨다.[36][9]
  • 유전자 발현 조절: 특정 유전자의 발현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글루코코르티코이드의 전사를 감소시키고, 알부민 mRNA 발현을 증가시키며, 당단백질 IIb 발현에 영향을 주어 혈소판 응집을 억제할 수 있다.[9]


식물에서도 PLP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자외선으로부터 식물을 보호하고[10][11][12], 엽록소[36] 및 식물 호르몬인 옥신 합성에 필요하다.[36]

에서 생성된 PLP는 주로 알부민과 결합하여 혈액을 통해 순환한다.[17] 체내 PLP 수준은 피리독살 키나아제, 피리독신 5'-인산 산화 효소, 인산가수분해 효소 등에 의해 조절된다.[36][50] 선천적으로 이러한 재활용 효소에 결함이 있으면 PLP 부족으로 이어져 영아 간질 발작과 같은 신경계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50] PLP는 결국 에서 알데히드 산화 효소의 작용에 의해 4-피리독스산으로 분해되어 소변으로 배설된다.[17][40] 일부 연구에서는 PLP의 항종양 작용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77]

2. 5. 피리독사민 (PM)

피리독사민(PM)은 비타민 B6의 7가지 알려진 형태 중 하나이다.

피리독사민(PM)의 구조식


비타민 B6는 실제로 6개의 화학적으로 관련된 화합물, 즉 핵심으로 피리딘 고리를 모두 포함하는 비타머 그룹으로 구성된다. 피리독사민은 이 중 아민 형태에 해당한다.

피리독사민은 피리독신(PN), Pyridoxine 5'-phosphate (PNP), 피리독살(PL), 피리독살 5'-인산(PLP), Pyridoxamine 5'-phosphate (PMP) 등 다른 비타민 B6 형태들과 상호전환이 가능하다. 단, 소변으로 배출되는 최종 이화 생성물인 4-Pyridoxic acid (PA)와는 상호전환되지 않는다.[3]

2. 6. 피리독사민 5'-인산 (PMP)

피리독사민 5'-인산(PMP)은 비타민 B6를 구성하는 6가지 화학적으로 관련된 화합물, 즉 비타머 중 하나이다.[3] 이는 피리독사민(PM)이 인산화된 형태이다.

체내에서는 피리독신(PN)이 효소 피리독살 키나아제에 의해 PMP로 전환된다.[28][3] PMP는 효소 피리독사민-인산 트란스아미나제 또는 피리독신 5'-인산 산화효소에 의해 대사 활성 형태인 피리독살 5'-인산(PLP)으로 전환된다.[28][3]

최종 대사 산물인 4-피리독스산(PA)을 제외하고, PMP는 다른 비타민 B6 형태들과 상호 전환될 수 있다.

2. 7. 4-피리독스산 (PA)

4-피리독스산(4-Pyridoxic acid, PA)은 비타민 B6의 이화 생성물이다.[28][3] 비타민 B6에는 PA 외에도 피리독신(PN), 피리독신 5'-인산(PNP), 피리독살(PL), 피리독살 5'-인산(PLP), 피리독사민(PM), 피리독사민 5'-인산(PMP) 등 다양한 형태가 존재하며, PA를 제외한 다른 형태들은 체내에서 서로 전환될 수 있다.[28][3]

PA는 비타민 B6의 대사 활성 형태인 피리독살 5'-인산(PLP)이 비가역적인 반응을 통해 분해되면서 생성된다.[28] 생성된 4-피리독스산은 체내에서 다른 형태로 전환되지 않고 소변을 통해 배설된다.[28]

3. 생합성 및 상업적 합성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 내용을 다룸)

3. 1. 생합성

현재 피리독살 인산(PLP) 생합성에는 두 가지 경로가 알려져 있다. 하나는 데옥시자일룰로스 5-인산(DXP)을 필요로 하는 DXP 의존적 경로이고, 다른 하나는 DXP를 필요로 하지 않는 DXP 비의존적 경로이다. 이 경로들은 각각 ''대장균''[4]과 ''고초균''에서 광범위하게 연구되었다. 두 경로는 시작 물질이나 필요한 단계 수에는 차이가 있지만,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5]

DXP 의존적 경로는 다음과 같다.

DXP 의존적 PLP 생합성 경로

3. 2. 상업적 합성

비타민 B6의 상업적 합성은 주로 아미노산인 알라닌을 시작 물질로 사용한다. 또는 프로피온산을 할로겐화 및 아민화 과정을 거쳐 알라닌으로 전환시킨 후 사용하기도 한다. 이 합성 과정은 옥사졸 중간체를 만든 다음, 디엘스-알더 반응을 통해 알라닌을 피리독신으로 전환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 전체 과정을 "옥사졸 방법"이라고 부른다.[3][6]

식이 보충제나 식품 강화에 사용되는 비타민 B6 제품은 주로 화학적으로 안정적인 형태인 피리독신 염산염이다.[8] 이렇게 섭취된 피리독신은 에서 대사적으로 활성을 띠는 조효소 형태인 피리독살 5'-인산으로 전환된다.

현재 산업계에서는 주로 옥사졸 방법을 사용하고 있지만, 이 방법에서 사용되는 시약 중 덜 독성이 있고 덜 위험한 시약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7] 또한, 발효 세균을 이용한 생합성 방법도 연구되고 있으나, 아직 상업적인 대량 생산 규모에는 이르지 못했다.[8]

4. 기능

비타민 B6의 주요 역할은 대사에 관여하는 다양한 효소조효소로 작용하는 것이다.[73] 이 역할은 주로 비타민 B6가 체내에서 전환된 활성 형태인 인산 피리독살(PLP 또는 P5P)에 의해 수행된다.[81][73] 인산 피리독살은 피리독살, 피리독신, 피리독사민 등 식품에 포함된 여러 형태의 비타민 B6로부터 만들어진다.[73]

인산 피리독살은 다양한 생화학 반응에 필수적인 조효소로 작용하며, 특히 다음과 같은 중요한 기능에 관여한다.[81][2][28][9][72]



이러한 과정에서 인산 피리독살은 탈카복실화, 아미노기 전이, 라세미화, 제거, 치환, 베타 그룹 상호 변환 등 다양한 화학 반응을 촉진한다.[81][2][28][9][72] 비타민 B6의 대사는 주로 에서 이루어진다.[81][72] 일부 연구에서는 항종양 작용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77]

4. 1. 아미노산 대사

비타민 B6의 주요 역할 중 하나는 아미노산 대사에 관여하는 다양한 효소조효소로 작용하는 것이다. 이 역할은 비타민 B6의 활성 형태인 인산 피리독살(PLP)에 의해 수행된다.[73] PLP는 식품에 포함된 피리독살, 피리독신, 피리독사민으로부터 전환되어 만들어진다.[73] PLP는 아미노산의 합성부터 분해까지 거의 모든 과정에 관여하며,[72] 탈카복실화, 아미노기 전이, 라세미화, 제거, 치환, 그리고 베타 그룹 상호 변환을 포함한 많은 반응을 촉진한다.[2][28][9][72]

PLP가 관여하는 주요 아미노산 대사 과정은 다음과 같다.

# 아미노기 전이: 트랜스아미나제는 아미노산을 분해하는 효소로, PLP를 필수 보조 인자로 사용한다. 이 효소의 적절한 활성은 아미노산의 아민기를 다른 분자(주로 케토산)로 옮기는 데 매우 중요하다. PLP는 효소의 라이신 잔기와 쉬프 염기를 형성한 후, 다른 아미노산과 결합하여 아민기를 떼어내고 새로운 아미노산을 생성하는 과정을 돕는다.[28][72]

# D-세린 합성: 신경 조절 물질인 D-세린은 세린 라세마제라는 PLP 의존 효소에 의해 L-세린으로부터 합성된다.

# 함황 아미노산 대사: PLP는 메티오닌시스테인으로 전환하는 경로에 있는 두 효소, 시스타티오닌 합성 효소와 시스타티오네이스의 기능에 필수적인 조효소이다.[72] 비타민 B6가 부족하면 이 효소들의 활성이 저하될 수 있다.

# 셀레노아미노산 대사: 셀레늄의 주요 식이 형태인 셀레노메티오닌을 체내에서 활용 가능한 형태로 바꾸는 데 PLP가 필요하다. PLP는 셀레노메티오닌이 셀레노호모시스테인으로 대사되고, 여기서 다시 셀렌화 수소가 생성되어 셀레노단백질 합성에 이용되는 과정에 조효소로 작용한다.[72]

# 트립토판 대사: PLP는 필수 아미노산인 트립토판나이아신(비타민 B3)으로 전환하는 과정에도 필요하다. 따라서 비타민 B6 섭취가 부족하면 트립토판으로부터 나이아신을 충분히 생성하지 못할 수 있다.[9][72]

이 외에도 PLP는 아미노산의 탈카복실화를 통해 생리 활성 아민을 생성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히스티딘에서 히스타민을, 트립토판에서 세로토닌을, 글루탐산에서 GABA를, 디히드록시페닐알라닌(L-DOPA)에서 도파민을 생성하는 반응에 관여한다.

4. 2. 탄수화물 대사

비타민 B6의 활성 형태인 인산 피리독살(PLP)은 탄수화물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PLP는 글리코겐 분해에 필수적인 효소인 글리코겐 인산화 효소의 조효소로 작용한다.[36][9] 글리코겐은 주로 근육, 간, 뇌에 저장된 탄수화물 저장 분자로, 분해 과정을 통해 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한 포도당을 방출한다.[36]

또한 PLP는 포도당이 아닌 다른 물질로부터 포도당을 합성하는 과정인 포도당 신생성에도 관여한다. 이 과정에서 PLP는 포도당 신생성의 재료로 사용될 아미노산을 공급하는 데 필요한 아미노기 전이 반응(transamination)을 촉매한다.[9]

4. 3. 지질 대사

비타민 B6의 활성 형태인 인산 피리독살(PLP)은 지질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스핑고지질의 생합성과 분해 과정에 필수적이다.[9][72]

PLP는 스핑고지질을 만드는 효소의 필수 구성 요소이다.[9][72] 대표적으로 세라마이드 합성에 PLP가 필요하다. 이 과정은 다음과 같다.

# 세린이 탈카복실화(이산화탄소가 빠져나감)된다.

# 탈카복실화된 세린은 팔미토일-CoA와 결합하여 스핑가닌을 형성한다.

# 스핑가닌은 지방 아실-CoA와 결합하여 디하이드로세라마이드를 만든다.

# 디하이드로세라마이드는 불포화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세라마이드가 된다.

또한, 스핑고지질의 분해 과정 역시 비타민 B6에 의존한다. 스핑고신-1-인산을 분해하는 효소인 스핑고신-1-인산 분해효소(S1P 리아제)가 PLP를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4. 4. 신경전달물질 합성

비타민 B6의 활성 형태인 인산 피리독살(PLP 또는 P5P)은 여러 신경전달물질 합성에 필수적인 조효소 역할을 한다.[81][2][28][9][72][73] PLP는 특히 세로토닌, 도파민, 에피네프린(아드레날린), 노르에피네프린(노르아드레날린), 그리고 감마 아미노부티르산(GABA)과 같은 5가지 중요한 신경전달물질의 생합성 과정에 관여한다.[36][72] 또한, 신경 조절 물질인 D-세린을 합성하는 세린라세머레이스 역시 PLP 의존성 효소이다.[72]

4. 5. 헤모글로빈 합성 및 기능

비타민 B6의 활성 형태인 인산 피리독살(PLP)은 헤모글로빈 합성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2][28][9][72] PLP는 효소 아미노레불린산 합성효소의 조효소로 작용하여, 헤모글로빈 합성의 첫 단계인 글리신과 석시닐CoA가 아미노레불린산으로 축합되는 반응을 돕는다.[36][74]

또한, PLP는 헤모글로빈의 기능에도 관여한다. PLP는 헤모글로빈 분자의 특정 두 부위에 결합하여 산소 결합 능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9][72]

4. 6. 유전자 발현

인산 피리독살(PLP)은 비타민 B6의 활성 형태로, 대량영양소 대사, 신경 전달 물질 합성, 히스타민 합성, 헤모글로빈 합성 등 다양한 생화학적 과정뿐만 아니라 유전자 발현 조절에도 관여한다.[81][2][28][9][72]

PLP는 특정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9] 예를 들어, 세포 내 비타민 B6 농도가 높아지면 글루코코르티코이드 호르몬의 전사가 줄어든다.[9] 반대로, 비타민 B6가 부족하면 알부민 mRNA의 유전자 발현이 증가한다.[9] 또한, PLP는 다양한 전사 인자와 상호작용하여 당단백질 IIb 유전자의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데, 이는 결과적으로 혈소판 응집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낸다.[9]

4. 7. 식물에서의 기능

식물에서 비타민 B6는 햇빛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햇빛에 포함된 자외선 B(UV-B)는 식물 성장을 돕지만, 너무 강하면 해로운 활성산소(ROS), 즉 산화제를 만들어 조직을 손상시킬 수 있다.[10] 연구에 따르면, 식물(애기장대 실험)은 UV-B에 노출되면 비타민 B6(피리독신)를 더 많이 만들어 스스로를 보호한다. 비타민 B6를 제대로 만들지 못하는 돌연변이 식물은 활성산소 수치가 높아지고, 지질 과산화나 세포 단백질 손상 같은 피해를 더 많이 입는 것으로 나타났다.[10][11][12]

또한, 식물의 엽록소 생합성 과정에도 비타민 B6가 필수적이다. 비타민 B6(PLP 형태)를 필요로 하는 아미노레불린산 합성효소가 숙시닐-CoA와 글리신을 이용해 엽록소의 재료가 되는 아미노레불린산을 만들기 때문이다.[36]

비타민 B6 합성 능력이 부족한 식물은 뿌리 성장에도 문제를 보인다. 이는 뿌리 성장에 중요한 식물 호르몬옥신을 합성하는 과정에서 비타민 B6조효소로 필요하기 때문이다.[36]

5. 섭취 권장량 및 섭취원

비타민 B6은 당근, 시금치, 현미, 두부, 바나나와 같은 식물성 식품뿐만 아니라 육류 및 생선류 등 다양한 식품에 함유되어 있는 수용성 비타민이다.

각국 규제 기관에서는 연령, 성별, 임신 및 수유 여부 등을 고려하여 식이 섭취 기준을 설정하고 있으며, 과다 섭취로 인한 부작용을 예방하기 위해 허용 가능한 최대 섭취량(UL)도 제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유럽 식품 안전청(EFSA)은 성인 기준 UL을 12mg/일로 설정한 반면[19], 미국 국립 의학 아카데미는 100mg/일로 설정하여[17] 기관 간에 차이를 보인다. 국가별 상세 기준은 하위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5. 1. 섭취 권장량

비타민 B6의 일일 섭취 권장량은 연령, 성별, 임신 및 수유 여부, 그리고 기준을 설정하는 기관에 따라 차이가 있다. 주요 국가 및 기관별 권장량과 허용 가능한 최대 섭취량(UL)은 다음과 같다.

'''미국''' 국립 의학 아카데미(National Academy of Medicine)는 1998년 식이 섭취 기준(Dietary Reference Intakes, DRI)을 통해 비타민 B6 권장량을 제시했다. 권장 식이 허용량(Recommended Dietary Allowance, RDA)은 나이에 따라 증가하며, 성인 여성은 1.2mg/일 ~ 1.5mg/일, 성인 남성은 1.3mg/일 ~ 1.7mg/일이다. 임신 중에는 1.9mg/일, 수유 중에는 2mg/일이 권장된다. 1세부터 13세까지의 어린이는 나이에 따라 0.5mg/일에서 1mg/일까지 RDA가 증가한다. 안전 상한선인 허용 가능한 최대 섭취량(UL)은 성인 기준 100mg/일로 설정되어 있다.[17]

'''유럽''' 유럽 식품 안전청(European Food Safety Authority, EFSA)은 인구 기준 섭취량(Population Reference Intake, PRI)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15세 이상 여성과 남성의 PRI는 각각 1.6mg/일과 1.7mg/일이며, 임신 중에는 1.8mg/일, 수유 중에는 1.7mg/일이다. 1세부터 14세까지 어린이의 PRI는 나이에 따라 0.6mg/일에서 1.4mg/일로 증가한다.[18] EFSA는 2023년 안전성 검토를 통해 성인의 비타민 B6 UL을 기존 25mg/일(2008년 설정)[20]에서 12mg/일로 낮추었다. 영유아 및 어린이의 UL은 연령에 따라 2.2mg/일에서 10.7mg/일 사이로 더 낮게 설정되었다.[19]

'''일본''' 후생노동성은 2015년 권장량을 업데이트했다. 성인 RDA는 여성 1.2mg/일, 남성 1.4mg/일이다. 임신 중에는 1.4mg/일, 수유 중에는 1.5mg/일이 권장된다. 1세부터 17세까지 어린이의 RDA는 나이에 따라 0.5mg/일에서 1.5mg/일까지 증가한다. 성인 UL은 여성 40mg–45mg/일, 남성 50mg–60mg/일로 설정되었으며, 70세 이상 고령층에게는 해당 범위의 낮은 값이 적용된다.[21]

다음은 성인 기준 비타민 B6와 다른 비타민 B군의 일일 섭취 권장량을 비교한 표이다.[82]

비타민 B6티아민(B1)리보플라빈(B2)비타민 B12
약 1.4mg약 1.1mg약 1.2mg약 2.4ug



비타민 B6은 수용성 비타민으로, 당근, 시금치, 현미, 두부, 바나나와 같은 식물성 식품뿐만 아니라 육류 및 생선류에도 함유되어 있다.

5. 2. 섭취원

비타민 B6은 수용성 비타민으로 당근, 시금치, 현미, 두부, 바나나 등 식물성 식품뿐만 아니라 고기류 및 생선류에도 함유되어 있다.

각국 규제 기관별로 식이 섭취 기준과 허용 가능한 최대 섭취량(UL)이 설정되어 있다.

'''미국''' 국립 의학 아카데미는 1998년 식이 섭취 기준을 업데이트했다. 비타민 B6의 권장 식이 허용량(RDA)은 다음과 같다.[17]

  • 성인 여성: 1.2mg/일 ~ 1.5mg/일 (나이에 따라 증가)
  • 성인 남성: 1.3mg/일 ~ 1.7mg/일 (나이에 따라 증가)
  • 임신 중: 1.9mg/일
  • 수유 중: 2.0mg/일
  • 어린이 (1~13세): 0.5mg/일 ~ 1.0mg/일 (나이에 따라 증가)

미국에서 설정한 성인 UL은 100mg/일이다.[17]

'''유럽''' 유럽 식품 안전청(EFSA)은 RDA 대신 인구 기준 섭취량(PRI)을 사용한다. 비타민 B6의 PRI는 다음과 같다.[18]

  • 성인 여성 (15세 이상): 1.6mg/일
  • 성인 남성 (15세 이상): 1.7mg/일
  • 임신 중: 1.8mg/일
  • 수유 중: 1.7mg/일
  • 어린이 (1~14세): 0.6mg/일 ~ 1.4mg/일 (나이에 따라 증가)

EFSA는 2023년 안전성 검토를 통해 성인의 비타민 B6 UL을 12mg/일로 설정했으며, 영유아 및 어린이의 경우 연령에 따라 2.2mg/일에서 10.7mg/일 사이로 더 낮게 설정했다.[19] 이는 2008년에 설정된 성인 UL 25mg/일을 대체한 것이다.[20]

'''일본''' 후생노동성은 2015년 비타민 권장 사항을 업데이트했다. 비타민 B6의 RDA는 다음과 같다.[21]

  • 성인 여성: 1.2mg/일
  • 성인 남성: 1.4mg/일
  • 임신 중: 1.4mg/일
  • 수유 중: 1.5mg/일
  • 어린이 (1~17세): 0.5mg/일 ~ 1.5mg/일 (나이에 따라 증가)

일본에서 설정한 성인 UL은 여성의 경우 40–45mg/일, 남성의 경우 50–60mg/일이며, 70세 이상 성인의 경우 해당 범위의 낮은 값이 적용된다.[21]

6. 결핍증

비타민 B6 결핍은 다양한 임상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지루성 피부염과 유사한 발진, 가 위축되고 염증이 생기는 위축성 설염, 입안이 허는 구강 궤양, 입꼬리가 갈라지는 구각 구순염, 결막염, 습진 등이 나타난다. 또한 뇌파 검사에서 이상 소견이 보일 수 있으며, 헤모글로빈의 중요 구성 요소인 합성이 저해되어 소구성 빈혈이 발생하기도 한다. 신경계에도 영향을 미쳐 스핑고신 합성이 손상되어 졸음증, 혼란, 우울증, 신경병증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1]

특히 영아의 경우 비타민 B6가 부족하면 과민 반응을 보이거나, 비정상적으로 소리에 민감해지고, 심하면 경련을 일으킬 수도 있다.[1]

결핍 정도가 심하지 않더라도, 조효소피리독살 5'-인산(PLP)의 활성이 부족해져 여러 대사 과정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1] 대표적인 예로 트립토판이 니아신으로 전환되는 과정에 장애가 생기는데, 이는 트립토판을 섭취한 후 소변으로 잔토렌산이 얼마나 배출되는지를 측정하여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메티오닌시스테인으로 전환되는 전황산화 과정도 원활하지 않게 된다. PLP는 아미노기 전이 효소(트랜스아미나제)와 글리코겐 포스포릴라아제의 작용에 필수적이므로, 비타민 B6가 부족하면 포도당 신생 과정에 문제가 생겨 포도당 내성이 손상될 수 있다.[1][9]

비타민 B6 상태 평가는 필수적인데, 이는 덜 심각한 경우의 임상 징후와 증상이 비특이적이기 때문이다.[39] 주로 사용되는 생화학적 검사 방법으로는 혈장 내 PLP 농도 측정, 적혈구의 아스파르트산 아미노전이효소 활성화 계수 측정, 소변으로 배출되는 비타민 B6 분해 산물(특히 4-피리독스산, PA) 측정 등이 있다. 이 중 혈장 PLP 농도는 체내 비타민 B6 저장량을 잘 반영하는 지표로 여겨진다. 혈장 PLP 농도가 10 nmol/L 미만이면 비타민 B6 결핍을 나타낸다.[40] 미국에서는 20 nmol/L 이상의 PLP 농도를 추정 평균 필요량 및 권장 일일 섭취량 설정을 위한 적절한 수준으로 선택하였다.[17] 소변 PA 배설량이 하루 3.0 mmol 미만인 경우에도 비타민 B6 결핍을 시사한다.[40] 이 외에도 UV 분광법, 형광 분광법, 질량 분석법, 박층 크로마토그래피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전기 영동, 전기 화학 분석법, 효소법 등 다양한 측정 방법이 개발되었다.[40][41]

비타민 B6 결핍의 전형적인 임상 증상은 개발도상국에서도 드물다. 과거 1952년과 1953년 사이에 미국에서 피리독신 함량이 부족한 조제 분유를 먹은 일부 영아에게서 결핍 사례가 보고된 바 있다.[42]

비타민 B6 결핍은 단독으로 발생하기보다는 다른 비타민 B 복합체 결핍과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특정 집단에서는 비타민 B6 수치가 낮아질 위험이 더 크다. 1형 당뇨병 여성, 전신 염증 환자, 간 질환자,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 HIV 감염자 등에서 비타민 B6 수치가 감소하는 경향이 보고되었다.[43][44] 또한 경구 피임약 복용이나 특정 항경련제, 아이소니아지드, 사이클로세린, 페니실라민, 히드로코르티손과 같은 약물 치료는 체내 비타민 B6 상태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1][45][46] 혈액 투석 역시 혈장 내 비타민 B6 수치를 감소시킨다.[47] 드물게 ''은행나무'' 씨앗을 과도하게 섭취하는 경우에도 비타민 B6가 고갈될 수 있다.[48][49]

비타민 B6는 우유, 닭고기, 콩, 바나나, 생선, 과일, 채소 등 다양한 식품을 통해 섭취할 수 있다. 이러한 식품 섭취가 부족한 경우 보충제를 고려할 수 있으나,[75] 일반인이 과도하게 보충제를 사용하면 오히려 혈관 관련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보고도 있다.[76]

비타민 B6 결핍은 호모시스테인 대사에도 영향을 미쳐 혈중 호모시스테인 농도가 높아지는 고호모시스테인혈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치매 발병 위험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77]

6. 1. 유전적 결핍증

유전적으로 확진된 비타민 B6 대사 질환은 영아에게 비타민 B6 결핍 의존성 간질 발작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질환에는 ALDH7A1 결핍, 피리독신-5'-인산 산화효소 결핍, 피리독살 인산 결합 단백질 결핍, 과프롤린혈증 II형, 저인산혈증 등이 있다. 이로 인한 발작은 피리독살 5'-인산 치료에 반응한다.[50][51]

7. 과잉증

비타민 B6 보충제 섭취로 인한 부작용은 보고되었지만, 음식 섭취로 인한 부작용은 보고된 적이 없다. 비타민 B6는 수용성 비타민으로 소변을 통해 배출되지만, 장기간 동안 식단 상한선(UL)을 초과하는 피리독신(비타민 B6의 한 형태)을 섭취하면 고통스럽고 결국 돌이킬 수 없는 신경학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17]

주요 증상으로는 팔다리의 통증과 무감각이 나타난다. 심한 경우, 운동 신경에 문제가 생기는 운동 신경병증이 발생하여 보행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이는 운동 신경의 신호 전달 속도가 느려지고, F파 반응 잠복기 및 감각 신경의 잠복기가 길어지는 현상으로 확인된다. 감각 신경병증은 일반적으로 하루 1000mg 이상의 피리독신 섭취 시 발생하지만, 이보다 훨씬 적은 양에서도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어 하루 200mg 이상 섭취하는 것은 안전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된다.[17]

하루 200mg 이하의 양으로 진행된 임상시험을 통해 부작용이 관찰되지 않은 최대 섭취량인 '무해용량(NOAEL, No-Observed-Adverse-Effect Level)'이 확인되었다. 이 값은 비타민에 특히 민감한 사람들을 고려하여 2로 나누는 '불확실성 계수'를 적용하였고, 그 결과 미국에서 설정된 성인 상한선(UL)은 하루 100mg이다.[17] 한편, 2023년 유럽 식품 안전 위원회(EFSA)는 성인 상한선을 하루 12mg으로 더 낮게 설정했다.[19]

비타민 결핍으로 인한 신경병증 치료를 위해 비타민 보충 요법을 실시할 때, 역설적으로 감각 기능이 점차 떨어지는 진행성 감각성 실조나, 위치 감각 및 진동 감각에 심각한 장애가 나타나는 등 양말이나 장갑을 착용한 부위처럼 느껴지는 말초 신경 장애가 나타날 수도 있다.

8. 의학적 용도

비타민 B6는 특정 약물 복용 시 발생하는 부작용을 완화하거나, 특정 식물 성분으로 인한 중독 증상을 치료하는 데 의학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핵 치료제인 아이소니아지드 복용 시 나타날 수 있는 말초 신경병증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비타민 B6가 함께 처방되기도 한다.[13][14] 또한, 은행나무 씨앗에 포함된 징코톡신 성분으로 인해 발생하는 중독 증상 치료에도 비타민 B6가 사용된다.[15][16]

8. 1. 아이소니아지드 유발 말초신경병증 예방 및 치료

아이소니아지드는 결핵 치료에 사용되는 항생제이다. 아이소니아지드의 흔한 부작용 중 하나는 손과 발의 무감각증인데, 이를 말초 신경병증이라고 부른다.[13] 비타민 B6를 아이소니아지드와 함께 투여하면 이러한 무감각 증상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14]

8. 2. 은행 중독 치료

은행나무의 은행 씨앗을 과다 섭취하면 비타민 B6 결핍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은행 씨앗에 함유된 징코톡신(4-O-메틸피리독신, MPN)이라는 물질 때문이다.[15][16] 징코톡신은 비타민 B6의 작용을 방해하는 항비타민(비타민 길항제)으로 작용하여 비타민 B6 결핍 증상을 유발한다.[15][78]

징코톡신은 뇌 신경전달물질인 GABA의 생합성을 억제한다. GABA는 글루탐산카복실기효소 반응을 통해 제거되면서 만들어지는데, 이 과정이 방해받으면 GABA 부족으로 경련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78] 은행 중독의 주요 증상으로는 구토와 전신 경련이 있다.[15]

은행 중독은 비타민 B6를 투여하여 치료할 수 있다.[15][16] 성인의 경우 상당한 양의 은행을 섭취해야 중독 증상이 나타나지만, 경우에 따라 하루 5~6알 정도만 먹어도 중독될 수 있다. 특히 은행 중독 보고 사례의 약 70%는 5세 미만의 소아에게서 발생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78]

9. 연구 현황

관상 동맥 심장 질환의 경우, 메타 분석 결과 식이성 비타민 B6 섭취량이 0.5mg/day 증가할 때마다 상대적 위험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65] 그러나 2021년 기준으로 관상 동맥 심장 질환이나 심혈관 질환에 대한 무작위 대조 시험 결과에 대한 검토는 아직 발표되지 않았다.

인지 기능 및 치매 위험과 관련하여, 관찰 연구 및 중재 시험 검토 결과 비타민 B6 농도가 높거나[66] 비타민 B6 치료가[67] 유의미한 이점을 보이지는 않았다.

낮은 식이성 비타민 B6 섭취는 여성의 우울증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었지만, 남성에서는 이러한 관련성이 나타나지 않았다.[68] 치료 시험을 검토했을 때, 우울증에 대한 전반적인 치료 효과는 보고되지 않았다. 다만, 폐경 전 여성의 하위 집단 시험에서는 일부 긍정적인 효과가 시사되어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69]

자폐 스펙트럼 장애 (ASD) 진단을 받은 어린이를 대상으로 고용량의 비타민 B6와 마그네슘을 함께 투여한 여러 시험 결과, ASD 증상의 심각성을 개선하는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70]

9. 1. 암

관찰 연구에 따르면 비타민 B6 섭취량이 많을수록 모든 발병률과 역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위장 관계 암에서 가장 뚜렷한 연관성을 보였다. 그러나 무작위 대조 시험 결과를 검토했을 때는 암 예방 효과가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자들은 비타민 B6 섭취량이 많다는 것이 단순히 다른 건강에 좋은 미량 영양소의 섭취가 높다는 지표일 수 있다고 언급했다.[59] 폐암 위험에 대한 한 검토 및 두 건의 관찰 시험에서는 혈청 내 비타민 B6 농도가 폐암 환자에게서 폐암이 없는 사람보다 낮게 나타났지만, 비타민 B6가 폐암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중재 또는 예방 시험은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60][61][62]

코호트 연구에서는 성인 남성 1일 권장량인 1.7mg/day의 10배가 넘는 20mg/day 이상의 비타민 B6 보충제를 장기간 복용한 경우, 남성의 폐암 발병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특히 흡연자의 경우 이러한 위험이 더욱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63] 그러나 이 연구 결과에 대한 더 최근의 검토에서는 보충 비타민 B6 섭취와 폐암 위험 증가 사이의 직접적인 인과 관계는 아직 확정적으로 결론 내릴 수 없다고 밝혔다.[64]

참조

[1] 웹사이트 Facts about Vitamin B6 Fact Sheet for Health Professionals http://ods.od.nih.go[...] 2020-02-24
[2] 웹사이트 Vitamin B6 http://lpi.oregonsta[...] Micronutrient Information Center, Linus Pauling Institute, Oregon State University, Corvallis, OR 2014-05
[3] 논문 Synthesis of [13C₃]-B6 Vitamers Labelled at Three Consecutive Positions Starting from [13C₃]-Propionic Acid 2018-08
[4] 논문 Vitamin B6 biosynthesis in higher plants 2005-09
[5] 논문 Two independent routes of de novo vitamin B6 biosynthesis: not that different after all 2007-10
[6] 논문 One Hundred Years of Vitamins-A Success Story of the Natural Sciences
[7] 논문 Improved "Oxazole" Method for the Practical and Efficient Preparation of Pyridoxine Hydrochloride (Vitamin B6) https://pubs.acs.org[...] 2013-11
[8] 논문 Microbial Cell Factories for Green Production of Vitamins 2021
[9] 서적 The Vitamins: Fundamental Aspects in Nutrition and Health https://books.google[...] Elsevier Academic Press
[10] 논문 Vitamin B6 deficient plants display increased sensitivity to high light and photo-oxidative stress 2009-11
[11] 논문 The role of the pyridoxine (vitamin B6) biosynthesis enzyme PDX1 in ultraviolet-B radiation responses in plants https://oru.diva-por[...] 2011-03
[12] 논문 Multiple roles for Vitamin B6 in plant acclimation to UV-B 2019-02
[13] 웹사이트 Isoniazid https://www.drugs.co[...] The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14] 논문 Pyridoxine in clinical toxicology: a review 2005-04
[15] 논문 Review of ''Ginkgo biloba''-induced toxicity, from experimental studies to human case reports 2017-01
[16] 논문 Food Poisoning by Ginkgo Seeds through Vitamin B6 Depletion 2019
[17] 서적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Thiamin, Riboflavin, Niacin, Vitamin B6, Folate, Vitamin B12, Pantothenic Acid, Biotin, and Choline https://www.nap.edu/[...]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18] 웹사이트 Overview on Dietary Reference Values for the EU population as derived by the EFSA Panel on Dietetic Products, Nutrition and Allergies https://www.efsa.eur[...]
[19] 논문 Scientific opinion on the tolerable upper intake level for vitamin B6 2023-05
[20] 웹사이트 Opinion on Pyridoxal 5′-phosphate as a source for vitamin B6 added for nutritional purposes in food supplements https://www.efsa.eur[...] Scientific Panel on Food Additives, Flavorings, Processing Aids and Materials in Contact with Food 2008
[21] 웹사이트 Overview of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Japanese https://www.mhlw.go.[...] 2015
[22] 웹사이트 Federal Register May 27, 2016 Food Labeling: Revision of the Nutrition and Supplement Facts Labels https://www.gpo.gov/[...]
[23] 웹사이트 Daily Value Reference of the Dietary Supplement Label Database (DSLD) https://web.archive.[...]
[24] 논문 Dietary Vitamin B6 Deficiency Impairs Gut Microbiota and Host and Microbial Metabolites in Rats 2020-11
[25] 뉴스 30 Foods High In Vitamin B6 https://www.nutritio[...] 2021-01-10
[26] 웹사이트 USDA Food Data Central. Standard Reference, Legacy Foods https://fdc.nal.usda[...] 2018-04
[27] 논문 Vitamin B6 Status among Vegetarians: Findings from a Population-Based Survey 2021-05
[28] 서적 Present Knowledge in Nutrition, Eleventh Edition Academic Press (Elsevier)
[29] 웹사이트 Map: Count of Nutrients In Fortification Standards https://fortificatio[...] 2024-11-29
[30] 논문 Health claims on functional foods: the Japanese regulations and an international comparison 2003-12
[31] 논문 食品中の機能性成分解析 https://www.jstage.j[...] The Japan Society for Analytical Chemistry 2016
[32] 논문 新しい保健機能性食晶制度の概要 http://www.ilsijapan[...] 2001
[33] 웹사이트 (問14) 栄養機能食品の規格基準及び表示の基準とは、どのようなものか https://web.archive.[...]
[34] 논문 Scientific Opinion on the substantiation of health claims related to vitamin B6 2010
[35] 웹사이트 Label Claims for Conventional Foods and Dietary Supplements https://www.fda.gov/[...] 2018-06-19
[36] 논문 Vitamin B6 and Its Role in Cell Metabolism and Physiology 2018-07-00
[37] 서적 Critical Care Toxicology 2016-00-00
[38] 서적 Assessment of vitamin B6 intake in relation to tolerable upper intake levels. Opinion of the Panel on Nutrition, Dietetic Products, Novel Food and Allergy of the Norwegian Scientific Committee for Food Safety https://vkm.no/downl[...] 2019-12-07
[39] 서적 Principles of Nutritional Assessment Oxford University Press 2018-04-20
[40] 논문 Direct and Functional Biomarkers of Vitamin B6 Status 2015-00-00
[41] 논문 Vitamin B6: deficiency diseases and methods of analysis 2013-09-00
[42] 서적 Textbook of Child Neurology https://books.google[...] Henry Kimpton Publishers 2018-04-20
[43] 논문 Type 1 diabetes impairs vitamin B(6) metabolism at an early stage of women's adulthood 2012-02-00
[44] 논문 Evidence for increased catabolism of vitamin B-6 during systemic inflammation 2014-07-00
[45] 논문 Oral contraceptive use: impact on folate, vitamin B6, and vitamin B12 status 2011-10-00
[46] 논문 Elevated plasma concentrations of homocysteine in antiepileptic drug treatment 1999-03-00
[47] 논문 Is vitamin B(6) deficiency an under-recognized risk in patients receiving haemodialysis? A systematic review: 2000-2010 2011-09-00
[48] 논문 Food poisoning by Ginkgo seeds through vitamin B6 depletion (article in Japanese)
[49] 논문 An antivitamin B6, 4'-methoxypyridoxine, from the seed of Ginkgo biloba L.
[50] 논문 Inborn errors in the vitamin B6 salvage enzymes associated with neonatal epileptic encephalopathy and other pathologies 2021-04-00
[51] 논문 Update on the treatment of vitamin B6 dependent epilepsies 2019-11-00
[52] 논문 Vitamin B2 and the Pellagra-like Dermatitis in Rats
[53] 논문 Further investigations on vitamin B(6) and related factors of the vitamin B(2) complex in rats. Parts I and II 1940-09-00
[54]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Chemistry 1938 https://www.nobelpri[...] 2018-07-05
[55] 논문 A history of the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vitamin B(6) 2012-00-00
[56] 논문 Synthetic vitamin B6 1939-04-00
[57] 논문 IUPAC-IUB commission on biochemical nomenclature (CBN). Nomenclature for vitamins B-6 and related compounds. Recommendations 1973 https://pubmed.ncbi.[...] 2021-08-30
[58] 논문 Dietary Reference Values for vitamin B6 2016-00-00
[59] 논문 Vitamin B6 and Cancer Risk: A Field Synopsis and Meta-Analysis 2017-03-00
[60] 논문 Association of One-Carbon Metabolism-Related Vitamins (Folate, B6, B12), Homocysteine and Methionine With the Risk of Lung Cancer: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8-00-00
[61] 논문 Circulating Folate, Vitamin B6, and Methionine in Relation to Lung Cancer Risk in the Lung Cancer Cohort Consortium (LC3) 2018-01-00
[62] 논문 Serum B Vitamin Levels and Risk of Lung Cancer https://researchonli[...] 2024-03-20
[63] 논문 Long-Term, Supplemental, One-Carbon Metabolism-Related Vitamin B Use in Relation to Lung Cancer Risk in the Vitamins and Lifestyle (VITAL) Cohort 2017-10-00
[64] 논문 Update on Safety Profiles of Vitamins B1, B6, and B12: A Narrative Review 2020-00-00
[65] 논문 Intake of vitamin B6, folate, and vitamin B12 and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a systematic review and dose-response meta-analysis of prospective cohort studies 2019-00-00
[66] 논문 Vitamin B12, B6, or Folate and Cognitive Function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20-00-00
[67] 논문 Effect of Vitamin B Supplementation on Cognitive Function in the Elderl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9-05-00
[68] 논문 Associations of dietary vitamin B1, vitamin B2, vitamin B6, and vitamin B12 with the risk of depress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21-04-00
[69] 논문 The role for vitamin B-6 as treatment for depression: a systematic review 2005-10-00
[70] 논문 Supplement intervention associated with nutritional deficiencies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a systematic review 2018-10-00
[71] 웹사이트 ビタミンB-6 ビタミンB-6 http://www.msdmanual[...] MSDマニュアル プロフェッショナル版
[72] 서적 The Vitamins: Fundamental Aspects in Nutrition and Health Elsevier 2008
[73] 논문 Function of the vitamin B6 group; pyridoxal phosphate (codecarboxylase) in transamination http://www.jbc.org/c[...]
[74] 웹사이트 Heme Synthesis http://www.rpi.edu/d[...] Rpi.edu 2012-11-02
[75] 웹사이트 Vitamin B6 flies under the radar: Are you getting enough? https://www.health.h[...] 2022-05-18
[76] 웹사이트 The Myth About Supplements - Nutrition and the Brain https://www.coursera[...] 2022-07-01
[77] 논문 ビタミンB6の抗腫瘍作用およびホモシステインの神経傷害の作用機序、食品摂取頻度と血漿ホモシステイン濃度に関する研究 https://doi.org/10.4[...]
[78] 웹사이트 銀杏食中毒とは http://www.hoku-iryo[...] 北海道医療大学薬学部 2010-06-17
[79] 논문 The biochemistry of vitamin B6 is basic to the cause of the Chinese restaurant syndrome
[80] 논문 ビタミン補給療法の再検討 https://doi.org/10.2[...]
[81] 서적 The Vitamins: Fundamental Aspects in Nutrition and Health Elsevier 2008
[82] 웹사이트 한국인 영양섭취기준 - 식품안전나라 https://www.foodsafe[...]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